1. 자바스크립트의 작동
HTML 페이지의 각 태그는 웹 브라우저에 의해 순차적으로 실행된다. 웹 브라우저는 head 태그를 먼저 읽은 후 body 태그를 읽는다.
script 태그를 head 태그에 넣으면 body 태그를 읽기 전 실행 되고 body 태그에 넣으면 head 태그를 실행한 이후에 실행된다.
* script 태그를 head 태그 안에 넣어야 코드를 살펴보기 편리한 이점이 있다
2. 자바스크립의 식별자 종류
구분 | 단독으로 사용 | 다른 식별자와 함께 사용 |
식별자 뒤에 괄호X | 변수 | 속성 |
식별자 뒤에 괄호O | 함수 | 메서드 |
3. 예외적인 문자열 사용법
내부에 작은 따옴표를 쓰고 싶으면 외부에 큰 따옴표를, 내부에 큰 따옴표를 쓰고 싶으면 외부에 작은 따옴표를 쓰면 된다.
<script>
alert("Hello 'World!'");
alert('Hello "World!"');
</script>
3-1. 이스케이프 문자를 이용한 출력법
이스케이프 문자 \n은 문자열을 줄바꿈할 때 사용한다.
자주 사용하는 이스케이프 문자 | |
이스케이프 문자 | 설명 |
\t | 수평 탭 |
\n | 줄바꿈 |
\' | 작은 따옴표 |
\" | 큰 따옴표 |
\\ | 역 슬래시 |
4. 조건문에서 불리언의 사용
조건문 괄호 안의 불리언 표현식이 참이면 중괄호 속 문장을 실행한다.
거짓이면 중괄호 속 문장을 무시하게 된다.
<script>
if(257>35) { //참
alert("257이 35보다 큽니다."); //실행됨
}
if(257<35) { //거짓
alert("257은 35보다 작습니다."); //실행되지 않음
}
</script>
5. 잘못된 비교 연산자의 사용
<script>
alert(30 > 20 > 10);
</script>
다음과 같은 표현식의 연산 과정은 아래와 같다.
true = 1이기 때문에 false가 출력된다. 때문에 아래와 같이 비교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의 적절한 사용 필요하다.
<script>
alert(30 > 20 && 20 > 10);
</script>
'Dev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스크립트 기초 5 - 이벤트 처리 (0) | 2022.12.06 |
---|---|
자바스크립트 기초 - 4 (0) | 2022.12.05 |
자바스크립트 기초 3 - '객체' (1) | 2022.12.05 |
브라우저 객체 모델(BOM: Browser Object Model) (0) | 2022.12.05 |
자바스크립트 기초 2 (0) | 2022.11.29 |
댓글